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적절한 실내 습도와 온도는 몇 도 일까?

728x90
반응형

점점 날씨가 추워지면서 실외 활동보다는 실내에서의 활동을 많이 하게 되고 겨울에는 감기 및 독감 등 여러 가지 질환들도 많이 발생한다. 그러하다 보니 겨울철 꼭 필요한 게 보일러와 가습기인 거 같다. 그럼 우리는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너무 많이 발생하여도 면역력이 떨어지고 몸의 밸런스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온도와 습도에서 생활하는 게 적절한 범위인지 알아보았다.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와 습도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겨울철 적절한 실내 온도는 18~20도라고 한다. 우리가 긴 옷이나 내복 등 옷을 입고 생활하기 때문에 20도의 온도만 맞춰줘도 23~24도 정도의 온도로 받아드려 일상생활을 하는데 이상은 없는 온도이다. 오히려 너무 높은 실내 온도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혈액순환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면역력만 더 떨어트려 너무 높은 온도도 좋지 않다. 반대로 16도 이하의 낮은 온도일 경우 호흡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며 12도 이하의 경우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쳐서 고령자나 아이가 있는 집은 18도 이상의 온도가 가장 좋다.

기상청에 의하면 겨울철 적절한 실내 습도는 40~60%라고 한다. 겨울철은 특히 더 건조하게 되어 습도가 많이 낮은데 추워서 보일러를 틀게 되면 더 습도가 낮아지면서 피부의 수분까지 빼앗아 피부도 건조해지고 기관지나 코에도 영향을 미쳐서 감기나 여러 바이러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반대로 실내 습도나 너무 높아도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아토피나 피부염 비염이 더욱 심해질수도 있어서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게 가장 좋다.

적잘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 젖은 빨래 널어두기 : 건조한 실내에 젖은 빨래를 널어두는 것만으로도 실내 습도를 올리는데 도움이 된다.
  • 가습기 사용 : 가장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인데 가습기를 통해서 습도를 조절하는데 가습기 사용시 가까이 두어 사용하지 말고 환기를 자주 시켜주고 물을 자주 갈아주고 가습기 통 세척을 해준다.
  • 수경식물 키우기 : 물에 뿌리를 내려 성장하는 수경식물을 키워 습도를 조절하고 오히려 식물을 통해서 가습 효과를 받는게 세균 등 오염이 적어 세균 위험이 적다.
  • 솔방울이나 숯 놓기 : 솔방울을 소금물로 깨끗히 세척하여 물에 담가 뒀다가 실내에 두면 머금고 있던 수분이 증발하면서 가습기 역할을 하고 숯에 습기를 흡착하고 방출하는 성질이 있어서 제습과 습도 조절에 좋다.
  • 물 자주 마시기 :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주는 것도 좋은데 내 몸의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여 보충해주는 것도 좋다.
  • 두꺼운 커튼 사용하기 : 두꺼운 커튼을 사용하여 차거운 공기가 들어오는걸 차단하고 따뜻한 공기가 빠져나가는걸 막아준다.
  • 뽁뽁이 붙이기 : 창문의 틈이나 베란다 등 틈이 있는 곳에 단열 용품을 사용하여 바람이 들어오는 걸 막는다.
  • 카페트나 러그 : 바닥이 추우면 따뜻함을 유지하지 못하니 바닥을 따뜻하게 만들어준다.

적절한 습도의 유지가 온도도 따뜻하게 도와주니 적절한 습도와 온도는 서로가 서로를 위해서 꼭 필요한 존재이니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이번 겨울에는 건강하게 겨울을 보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