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변화되는 정책 및 제도(2023년도와 비교하여)

728x90
반응형

이제 2023년도 거의 마무리가 되어간다. 이제 다가오는 2024년은 2023년과 비교해서 복지나 정책이 달라지는 미리 확인해 보았다.

2024년 달라지는 정책이나 제도 (청년)

  1. 최저 시급 : 2023년 최저 시급은 9,620에서 2024년 9,860원으로 2.5%가 인상되었다. 그래서 월급은 2,060,740원 정도 된다.
  2. 대중교통 : 알뜰교통카드가 2024년 7월부터 k-PASS로 바꿔서 청년은 30% 할인된다(월 20회 초과 탑승 시, 일반은 20%, 저소득층은 53%)
  3. 국가자격시험응시 : 응시료가 50% 할인된다.(일 년에 3번 가능)
  4. 군대 : 월급이 인상되었는데 병장기준에서 2023년 100만 원에서 2024년 125만 원으로 인상하였고 사회진출 지원금이 2023년 30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인상되었다.
  5. 학자금대출 : 학자금 대출 금리를 23년과 동일하게 1.7%로 유지하고, 생활비 대출 한도를 연 350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2024년 달라지는 정책이나 제도 (가정)

  1. 육아 휴직 :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 휴직 사용 시 최대 12개월에서 18개월로 길어졌다.
  2. 둘째 이상 자녀 출산 시 지원금액 : 2023년 200만 원에서 2024년 300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3. 0~2세 반 어린이집 지원 : 2023년에는 등록아동 기준 지원이었다면 2024년은 정원 미달 시에도 정원기준 지원(단 50% 이상)으로 달라졌다.
  4.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 지원 : 기존 5일에서 2024년은 10일로 늘어났다.
  5. 가임력 검진(사전검진) : 2023년은 자비로 검진을 받았다면 2024년 검진비를 5~10만 원 지원해 준다.
  6. 난임휴가(중소기 엄 근로자) : 2023년 무급에서 2024년 유급 2일로 변경되었다.

2024년 달라지는 정책이나 제도(어르신)

  1. 노인일자리 수당 : 6년 만에 월 2~4만 원 인상되어 공익형(교육도우미, 보육시설 봉사 등)은 23년 월 27만 원에서 월 29만 원(30시간)으로 인상되었고 사회서비스형(학습보조, 공공행정 지원 등)은 월 59.4만 원에서 월 63.4만 원(60시간)으로 인상되었다.
  2. 중점 돌봄 독거노인 돌봄 서비스 확대 : 2023년 월 16시간에서 2024년 월 20시간으로 확대되었다.
  3. 기초연금(65세 이상, 소득하위 70%) : 2023년 32.3만 원에서 2024년 33.4 만원으로 인상되었다.
  4. 보훈 보상금(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 : 2023년 월 351만 원에서 2024년 월 368만 원(상이유공자 1급 1항 기준)으로 인상되었다.
  5. 국가유공자 진료 위탁병원 확대 : 2023년 740개에서 2024년 840개로 확대되었다.

미리미리 2024년 달리지는 혜택을 확인해 보고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꼭 받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