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달라지는 여러 분야의 정책

728x90
반응형

2024년이 지나가고 2025년 새해가 시작됩니다. 그래서 문득 작년과 달라진 정책이나 변화가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과연 작년과 달라진 2025년 정책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작년과 달라진 정책

1. 2025년 달라진 교육 분야

 

-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 수학, 영어, 정보, 국어(특수 교육) 과목에 우선 도입되며, 2028년까지 전 과목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흥미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하는 제도가 전국 고등학교에서 시행된다고 합니다.

 

2. 2025년 달라지는 노동 및 복지

 

- 최저임금 안성 : 시간당 최저임금이 10,030원으로 인상되어 약 월 209만 원 수준이 된다고 합니다(월 209시간 기준)

 

- 육아휴직 기간 연장 : 육아휴직 기간이 기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되며, 배우자의 출산휴가도 기존 10일에서 20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3. 2025년 달라지는 사회적 변화

 

- 미성년자 기준 변경 : 법적 미성년자 기준이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변경되어 18세 청소년들의 법적 지위에 변화가 생깁니다.

 

- 초고령사회 진입 :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2025년 달라지는 경제 

 

- 상속. 증여세 개편 : 과세표준과 세율이 조정되어 상속, 증여세 부담이 일부 완화될 예정입니다.

 

5. 2025년 달라지는 환경

 

- 탄소중립 목표 강화 ㅣ 재생 기능 에너지 비율을 40% 이상으로 확대하는 등 환경 정책에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2025년 임산부과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시행되거나 확대되는 정책

1. 임산부 교통비 지원 확대 : 기존에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되던 임산부 교통비 지원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며, 지원 금액도 최대 100만 원까지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2. 임신, 출산 바우처 및 첫 만남이용권 : 임신 확인 후 받을 수 있는 바우처(국민행복카드)는 100만 원으로 유지되며, 첫 만남이용권은 첫째 아이 출산 시 200만 원, 둘째 아이는 300만 원이 1회 지급됩니다.

 

3. 산후조리비 지원 확대 : 저 소등층과 다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산후조리비 이용 지원금이 기존 5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까지 상향되었습니다.

 

4. 육아휴직 제도 확대 :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각각 최대 1년씩 총 2년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확대되었고, 육아휴직 급여는 첫 6개월 동안 기존 월 급여의 80%에서 90%로 인상되었습니다.

 

5. 양육수당 및 돌봄 서비스 강화 : 가정 양육수당이 만 3세까지 확대되었으며, 첫째 아이 기준 월 50만 원으로 증액되었습니다. 또한 맞벌이 가정을 위한 돌봄 서비스 바우처 이용 시간과 금액은 20% 늘어나 월 120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